임상뇌전증학,3/판 [Clinical epilepsy 임상뇌전중 도서 신간의학도서 목록]
의학서적 온라인 할인서점 성보의학서적의 신간도서 안내입니다.
의학서적 전문서점 "성보의학서적"에서 추천하는 신간도서입니다.
▼ 위 도서명 또는 도서사진을 클릭하시면 저희 "성보의학서적_홈페이지"에서 가격등 도서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판매가 : 85,000원
정가 : 90,000원
적립금 : 2,500 (3 %)
저자 : 대한뇌전증학회
출판사 : (주)범문에듀케이션
ISBN : 9791159431029
출판일 : 2018.09
판형 : Hardcover
면수 : 680 page
판수 : 3/판
|
의학서적전문 "성보의학서적"의 신간의학도서입니다.
-도서목차-
임상뇌전증학 3판을 출간하며 iii 교과서 편찬위원회 v 집필진 vii 약어 ix Part I 뇌전증의 발생기전 Mechanism of epileptogenesis Chapter 01 뇌전증의 역사 3 1.1 국외 뇌전증의 역사 3 1.2 국내 뇌전증의 역사 4 Chapter 02 뇌전증의 역학과 자연경과 9 2.1 뇌전증의 역학 9 2.2 뇌전증의 자연경과 11 Chapter 03 신경계 발달과 뇌전증의 병리기전 15 3.1 신경계 발달과 기형 15 3.2 대뇌피질발달기형과 뇌전증 24 3.3 해마와 해마경화증 28 Chapter 04 뇌전증발생의 세포학적 측면 37 4.1 기초 세포신경생리학 37 4.2 뇌전증발생의 세포학적 기전 42 4.3 뇌전증의 실험모델 52 Chapter 05 뇌전증의 유전학 59 5.1 뇌전증의 원인유전자 규명을 위한 유전자 검사 59 5.2 단일유전자뇌전증의 유전자 61 5.3 복합뇌전증의 감수성유전자 63 5.4 뇌전증유전학의 미래 63 Part II 뇌전증의 진단 Diagnostic evaluation Chapter 06 병력청취, 신체진찰 및 검사실검사 67 6.1 병력청취 및 문진 67 6.2 신체진찰 69 6.3 검사실검사 69 Chapter 07 뇌파검사 73 7.1 뇌파의 생리학적 기초 73 7.2 뇌파의 전기장과 국소화 77 7.3 뇌파의 개체발생학적 발달 82 7.4 뇌전증의 다양한 이상뇌파소견 87 7.5 뇌전증 진단에서 뇌파의 적용 92 7.6 뇌파지도화와 쌍극자근원모형화 96 7.7 비디오뇌파감시 98 7.8 기타 뇌파 100 Chapter 08 뇌영상 109 8.1 뇌전증의 해부학적 영상 109 8.2 뇌전증의 기능 영상 113 8.3 전산화 및 다기법영상기술 116 Part III 뇌전증발작과 뇌전증증후군 Epileptic seizure and syndrome Chapter 09 뇌전증발작 123 9.1 발작의 증상학 123 9.2 뇌전증발작의 분류 129 9.3 뇌전증조짐 133 9.4 복합부분발작 137 9.5 단순운동발작 140 9.6 전신강직간대발작 143 9.7 소발작 144 9.8 근간대발작 147 9.9 강직발작 152 9.10 무긴장발작(Atonic seizure) 154 9.11 신생아발작 156 Chapter 10 뇌전증증후군 169 10.1 뇌전증 및 뇌전증증후군의 국제 분류 169 10.2 신생아뇌전증뇌병증 172 10.3 West증후군 176 10.4 Lennox-Gastaut증후군 180 10.5 Landau-Kleffner증후군 182 10.6 Dravet증후군 184 10.7 소아기 기타 뇌전증뇌병증 186 10.8 소아 특발 및 양성부분뇌전증 190 10.9 특발성 전신뇌전증 193 10.10 측두엽뇌전증 198 10.11 측두엽외뇌전증 202 10.12 진행근간대뇌전증 207 10.13 반사발작과 반사뇌전증 210 10.14 드문 뇌전증증후군 214 Chapter 11 특수한 임상상황에서의 발작 219 11.1 열성경련 219 11.2 외상후뇌전증 221 11.3 뇌혈관질환과 뇌전증 223 11.4 신경피부증후군 224 11.5 뇌전증과 관련된 유전질환 228 11.6 유전대사 및 사립체질환 231 11.7 비신경계 내과질환과 발작 234 11.8 월경뇌전증 238 Chapter 12 뇌전증의 감별진단 245 12.1 실신 245 12.2 정신성비뇌전증발작 251 12.3 기타 비뇌전증돌발질환 254 Part IV 뇌전증의 내과적 치료 Medical Treatment Chapter 13 항뇌전증약 치료의 원칙 261 13.1 뇌전증의 약물치료 261 13.2 항뇌전증약 개발과 실험모델 262 13.3 작용기전 264 13.4 항뇌전증약의 약동학 및 약역학: 성인 272 13.5 항뇌전증약의 약동학 및 약역학: 영유아, 소아 284 13.6 약물상호작용 290 13.7 항뇌전증약 치료의 시작 294 13.8 유지요법 295 13.9 부가 및 복합요법 300 13.10 치료약물농도감시 306 13.11 항뇌전증약의 중단 308 13.12 항뇌전증약의 유해효과 309 13.13 항뇌전증약의 약물유전학 312 Chapter 14 특정환자군 치료 시 고려사항 321 14.1 급성증상발작 321 14.2 간질환과 신장질환 322 14.3 여성 326 14.4 노인 333 14.5 소아 336 14.6 장애 환자 343 14.7 동반질환 345 Chapter 15 현재 사용가능한 항뇌전증약 353 15.1 Carbamazepine 353 15.2 Valproate 354 15.3 Phenytoin 356 15.4 Phenobarbital 357 15.5 Ethosuximide 360 15.6 Benzodiazepine 360 15.7 Gabapentin 362 15.8 Pregabalin 363 15.9 Lamotrigine 364 15.10 Oxcarbazepine 365 15.11 Topiramate 366 15.12 Zonisamide 368 15.13 Levetiracetam 369 15.14 Tiagabine 371 15.15 Felbamate 371 15.16 Vigabatrin 372 15.17 Lacosamide 373 15.18 Perampanel 374 15.19 Rufinamide 378 15.20 Brivaracetam 378 15.21 기타 과거에 개발된 약제sPrimidone/Acetazolamided 379 15.22 개발되고 있는 신약제 380 Chapter 16 기타 내과적 치료 389 16.1 ACTH와 스테로이드 389 16.2 케톤생성식이요법 390 Part V 뇌전증의 수술적 치료 Epilepsy surgery Chapter 17 뇌전증수술의 대상 선정과 수술 전 평가 395 17.1 뇌전증수술과 약물난치성 395 17.2 수술로 치료할 수 있는 증후군 400 17.3 비디오뇌파평가 402 17.4 뇌전증 수술 전 평가에 있어서 MRI의 역할 403 17.5 기능신경영상 410 17.6 기능지도화기법 413 17.7 침습감시기법 417 17.8 뇌자도 426 17.9 Intracarotid amobarbital procedure 428 17.10 신경심리평가 431 17.11 입체뇌파검사 435 Chapter 18 수술치료 방법론 447 18.1 측두엽절제술 447 18.2 신피질절제술과 다엽절제술 451 18.3 병터절제술 452 18.4 다발연막하절단술 457 18.5 뇌량절개술 458 18.6 반구절제술 461 18.7 시상하부과오종으로 인한 뇌전증의 치료 463 18.8 뇌자극술 466 18.9 뇌전증수술의 결과 471 18.10 소아청소년의 뇌전증수술 474 Part VI 뇌전증의 정신사회적 문제 Psychiatric and social issue Chapter 19 뇌전증과 인지기능 481 19.1 병전요소 481 19.2 발작과 연관된 요소 482 19.3 치료와 연관된 요소 482 Chapter 20 뇌전증에 동반되는 정신질환 485 20.1 우울장애 485 20.2 불안장애 492 20.3 정신장애 494 20.4 인격장애 495 20.5 자살 495 Chapter 21 사회적 문제 501 21.1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평가 501 21.2 법적 문제와 효과적인 대응방법 501 Part VII 뇌전증의 임상생물학 Clinical biology of epilepsy Chapter 22 생체리듬과 자율신경계 509 22.1 수면 509 22.2 수면장애와 뇌전증 512 22.3 뇌전증 환자의 돌연사 515 Chapter 23 뇌전증과 호르몬 519 23.1 뇌전증과 호르몬의 변화 519 23.2 호르몬이 발작 유발 또는 뇌전증에 미치는 영향 523 Part VIII 기타 Chapter 24 뇌전증지속상태 533 24.1 뇌전증지속상태의 정의 533 24.2 뇌전증지속상태의 분류 534 24.3 뇌전증지속상태의 역학, 병인, 그리고 예후 536 24.4 뇌전증지속상태의 병태생리 541 24.5 뇌전증지속상태의 임상소견과 진단 542 24.6 뇌전증지속상태의 치료 543 24.7 결론 547 Chapter 25 자가면역시냅스뇌염과 뇌전증 549 25.1 진단 549 25.2 치료 553 찾아보기 559
기타 신간의학서적과 의학도서에 관련된 문의사항은 고객센터(02-854-2738) 또는 저희 성보의학서적 홈페이지내 도서문의 게시판에 문의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성보의학서적 "http://www.medcore.kr
임상뇌전증,Clinical epilepsy,뇌전증학회,뇌정증학,뇌파학,뇌파학검사,EEG, |